본문 바로가기

튜플

[Python] 튜플(Tuple) 더하기, 곱하기 튜플의 더하기 연산자와 곱하기 연산자도 리스트의 연결, 반복 연산과 동일한 기능을 해요. 튜플 더하기(+) 만약 두 튜플를 합치고 싶을 때(연결) 더하기 연산을 사용해요. tuple_a = (1, 2, 3, 4, 5) tuple_b = ("홍길동", "한국인", "개발자") tuple_sum = tuple_a + tuple_b print(tuple_sum) >> (출력)(1, 2, 3, 4, 5, "홍길동", "한국인", "개발자") 합치고 싶은 튜플에 ‘+’를 통해 연결만 시켜주면 두 리스트에 있는 데이터를 합칠 수 있어요. 튜플 곱하기(*) 이번에는 튜플의 데이터를 반복해볼게요. 여러분들은 (1, 2, 3, 1, 2, 3, 1, 2, 3, 1, 2, 3, 1, 2, 3)이라는 튜플를 만들거에요. 가장.. 더보기
[Python] 튜플 인덱싱, 슬라이싱 튜플도 리스트처럼 인덱스 번호를 통해 특정 데이터 하나를 조회하거나 인덱스 범위 안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어요. 리스트의 인덱싱, 슬라이싱과 동일하니 바로 소스코드를 통해 알아볼게요. 인덱싱(Indexing) 먼저 인덱싱은 리스트 안에 있는 값을 꺼낼 때 사용해요. 리스트처럼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하는데요. my_tuple = (1, 2, 'a', 'b', [5,6,7]) print(my_tuple[0]) >> (출력) 1 print(my_tuple[2]) >> (출력) a my_tuple에서 숫자 1를 꺼내기 위해 my_tuple[0] 이라고 작성하면 되요. 그리고 my_tuple에서 문자 ‘a’를 꺼내기 위해 my_tuple[2] 이라고 작성하면 ‘a’를 출력할 수 있어요. 리스트와 똑같죠.. 더보기
[Python] 튜플(Tuple) 만들기 튜플을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. 첫 번째로 소괄호()와 콤마(,)를 이용해서 만들 수 있어요. 두 번째는 그냥 콤마(,)로 데이터를 구분해주면 돼요. 무슨 말이냐고요? # 소괄호와 콤마를 이용해 튜플 만들기 my_tuple1 = (1, 2, 3, 4, 5) print(type(my_tuple1)) >> (출력) # 콤마를 이용해 튜플 만들기 my_tuple2 = 1, 2, 3, 4, 5 print(type(my_tuple2)) >> (출력) 이렇게 작성하면 튜플을 만들 수 있어요. 더보기
[Python] 튜플(Tuple) 자료형이란? 파이썬을 배우면서 새로운 자료형에 대해 알게되었어요. 바로 튜플(Tuple)이라는 자료형인데요!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튜플(Tuple)은 과연 어떤 자료형일까요? 튜플(Tuple)은 리스트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 자료형이에요. 어떻게 비슷하냐고요? # List my_list = [1, 2, 3, 4, 5] # Tuple my_tuple = (1, 2, 3, 4, 5) 얼핏 보면 똑같아요! 그런데 데이터를 깜싸고 있는 괄호의 모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어요. 네! 튜플은 소괄호 “( )”를 이용해서 여러개의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자료형이에요.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했으니 당연히 튜플 안에 다양한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어요. 그러면 리스트가 있는데 왜 튜플이라는 자료형을 또 만들었을까요? 먼저 튜플은 리스트와 어떤.. 더보기